직장갑질119, 코로나19 후 6개월 변화 1000명 설문
비정규직 노동자, 정규직 대비 실직 비율 6배 이상
코로나19 우울감도 비정규직·생산직 등이 심각해

사진=Pixabay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이하 코로나19)은 많은 것을 바꿨다.

비정규직 노동자가 정규직보다 실직하는 경향이 컸다. 또 코로나19 우울증은 비정규직, 생산직, 여성, 저임금노동자에게 더욱 심각하게 와닿았다.

22일 직장갑질119가 공공상생연대기금의 지원을 받아 여론조사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6월 5일부터 10일까지 ‘코로나19 6개월 직장생활 변화’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다.

조사내용은 ▲코로나19에 대한 전반적 인식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상황 변화 ▲코로나19로 인한 직장생활 변화 ▲코로나19 정부정책 평가 ▲코로나19 위기 극복 방안이다.

설문 결과 코로나19 감염으로부터 ‘안전하다’는 응답은 53.8%로 2개월 전인 4월 1차 조사(60.3%)보다 낮아졌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불안감이 높았다.

안전하다는 응답은 정규직(60.8%)이 비정규직(43.3%)보다 17.5% 높았다.

사무직, 고임금노동자, 남성이 비사무직, 저임금노동자, 여성에 비해 안전하다고 느꼈다.

코로나19로 인한 우울감에 대해서도 심각하다는 응답이 14.4%로 나타났다.

정규직(11.7%)보다 비정규직(18.5%)이, 사무직(11.4%)보다 생산직(15.7%)과 서비스직(18.7%)이, 남성(11.3%)보다 여성(18.5%)이, 500만원 이상 고임금노동자(5.9%)보다 150만원 미만 저임금노동자(20.5%)가 심각하게 느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노동시간 변화에 대해 줄었다는 응답이 비정규직(41.3%)이 정규직(17.0%)에 비해 2.4배 높았다.

직업별로 보면 서비스직(42.3%)과 생산직(32.9%)이 사무직(15.2%)보다, 저임금노동자(46.2%)가 고임금노동자(16.9%)보다 높았다. 여성(34.0%)이 남성(21.3%)보다 노동시간이 줄었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지난 6개월간 본인의 의지와 무관하게 실직을 경험했다는 직장인은 12.9%였다.

정규직은 4.0%가 실직경험이 있었는데 비해 비정규직은 26.3%가 실직을 경험해 6.57배 높았다.

사무직(4.6%)과 비사무직(21.2%), 고임금노동자(2.5%)와 저임금노동자(25.8%), 남성(9.8%)과 여성(17.1%)이 큰 차이를 보였다.

실직 사유로는 ‘비자발적 해고’(28.7%)와 ‘권고사직’(27.9%)이 가장 높았다. 자발적 퇴사는 18.6%에 불과했다.

6개월 간 실직을 경험한 응답자들 중 76.0%가 실업급여를 ‘받은 적 없다’고 응답했다.

실직을 한 직장인 100명 중 76명이 실업급여를 받지 못했다. 실업급여를 받지 못한 이유로는 ‘고용보험에 가입되지 않았음’이 50.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현재 월 소득이 6개월 전과 비교하여 어떻게 변화했느냐는 질문에 ‘소득이 줄었다’는 응답이 32.6%였다.

비정규직이 52.8%로 정규직(19.2%)에 비해 2.7배 이상 높았다. 특히 비정규직 내에서도 프리랜서·특수고용이 67.6%로 가장 높았고, 일용직(60.0%), 아르바이트 시간제(51.8%) 임시직(40.8%) 순이다.

다른 질문과 마찬가지로 서비스직, 여성, 저임금노동자가 ‘소득이 줄었다’에 높게 응답했다.

소득이 감소한 이유는 노동시간이 줄어서가 46.0%로 가장 높았다. 코로나19 이후 가구소득이 줄었다는 응답은 40.1%로 직장인 10명 중 4명이 가구소득 감소를 경험했다. 가구소득 감소 역시 비상용직(59.0%), 비사무직(53.0%)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장의 코로나19 예방 조치 여부는 ‘마스크 착용 및 개인위생 관리’가 91.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보호구 및 위생관련 물품 구비 및 비치’(74.7%), ‘증상이 있는 노동자 병가·유급휴가 활용 등 귀가조치’(67.9%), ‘주기적 사업장 시설·공간 등 청결·소독 유지 관리’(65.6%) 등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에 반해 유연근무제 활용(29.4%), 의심환자 발견 시 대기 가능한 별도 격리장소 마련(31.1%), 칸막이 또는 가림막 설치, 개인 고정자리 배치(33.0%)는 매우 낮았다.

비정규직, 비사무직이 정규직과 사무직에 비해 마스크를 제외한 모든 예방조치가 낮았다.

회사에서 자유롭게 연차휴가를 사용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63.0%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비정규직은 50.8%인 절반만이 자유롭게 쓰고 있고, 49.3%는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서비스직도 49.6%가 그렇지 않다고 응답했으며, 저임금노동자는 55.3%, 여성은 45.7%가 연차휴가를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한다고 대답했다.

정부의 코로나 생활방역 수칙(아프면 3~4일 쉰다)이 무급일 경우 응답자의 46.1%는 ‘집에서 쉰다’고 응답했다. ‘출근한다’는 응답은 32.9%였다.

몸이 아프면 쉬고 국가가 수당을 지급하는 상병수당 도입에 대해 대부분의 응답자(89.1%)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응답자들은 정부의 코로나19 사태 감염위기 대응에 대해 85.3%가 ‘잘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코로나19 사태 일자리 위기 대응에 대해서는 63.1%가 ‘잘하고 있다’고 했다. 일자리 위기 대응에 대해 정규직(65.3%), 사무직(66.6%), 고임금노동자(71.2%)가 잘하고 있다고 대답했다.

코로나19 이후 부당한 처우를 당할 경우 정부가 만든 익명신고센터 신고 의향에 대해 ‘신고하겠다’는 응답은 74.7% 수준이었다.

신고하지 않는 이유로는 ‘신원이 드러나서 불이익을 당할 것 같아서’가 50.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황이 나아질 것 같지 않아서’(30.8%), ‘고통 분담이 필요해서’(13.8%) 등의 순이다.

코로나19로 인한 직장 고용관계 변화에 대해 ‘변화가 없을 것이다’는 30.5%였다.

정리해고, 구조조정(24.2%) 정규직의 비정규직화 등 고용형태 악화(15.0%), 임금삭감(14.5%)를 더해 53.7%가 고용조건 악화를 예상했다.

해고·권고사직·희망퇴직 요구 시 ‘해고·권고사직·희망퇴직을 거부할 것이다’는 응답은 24.2%에 지나지 않았다.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다면 수용할 것이다’가 48.5%로 가장 높았다. ‘해고·권고사직·희망퇴직을 수용할 것이다’(8.4%) 등의 응답이 나왔다.

노조원, 사무직, 정규직, 고임금노동자들은 해고를 거부한다는 응답이 높았고, 비노조원, 서비스직, 비정규직, 저임금노동자는 실업급여를 받는다면 수용한다는 응답이 높았다.

코로나19로 이후 달라져야 할 사회의 지향으로 ‘정규직 일자리 확대 및 비정규직 보호가 필요하다’가 90.9%로 가장 높았다. ‘원청업체의 사용자 책임 강화가 필요하다’(89.6%), ‘마스크 등 공공재에 대한 정부 통제가 필요하다’(88.7%) 등의 의견에 대다수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에이원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